1. aice pro 소개
aice는 AI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인데, pro는 aice 자격 중 가장 어려운 시험입니다. associate 자격은 데이터와 함께 '어떤식으로 가공하고 어떤 모델을 사용해라' 라는 흐름이었는데, pro는 그런 것 없이 스스로 특정 성능 수치를 달성해야합니다.
2. 준비방법
aice는 기출문제가 없다보니, 시험범위를 통해 문제를 유추하는 수 밖에는 없었습니다.
시험범위는 크게 정형데이터, 이미지, 텍스트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제한된 시험시간을 고려하면 정형데이터는 분류/회귀, 이미지와 텍스트는 분류로 출제되리라 예상하고 관련된 문제를 찾아풀었습니다. 데이콘이나 캐글 이용이 어려우신 분들은 빅데이터분석기사의 실기문제를 먼저 접해보는 것도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3. 합격 팁
비밀유지 서약(?) 때문에 문제를 외부로 노출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힌트를 드리자면, 크게 3가지 포인트를 놓고 집중하시면 될 듯합니다.
1)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
모든 실기시험이 그렇겠지만, 시간이 적게 느껴집니다. 따라서 구글링하지 않고 바로 타이핑할 수 있는 수준으로 코드를 연습해가는게 도움이 되었습니다. 저는 ADP 취득 시에 이런 습관을 들여놔서 시험 준비가 수월했지만, 대부분의 분들은 바로 타이핑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실 것 같아요. 데이터전처리, 모델링, 파이프라인, 성능평가, 결과파일까지 꼼꼼히 점검해두시길 바랍니다.
2) 텍스트, 이미지에 집중하자
배점이 더 높은 문항에 집중합시다. 다른 분들의 후기나 제 점수 상태를 보면 비정형 데이터는 채점기준이 그리 빡빡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비전공자분들은 익숙하지 않겠지만 텍스트와 이미지 처리를 꾸준히 연습하시면 합격하실 것 같습니다.
3) 답안지 완성이 우선이다.
이건 제 자신이 놓쳤던 포인트입니다. 채점기준인 '성능'을 달성시키기 위해 한문제에 올인하기보다는, 일단 모든 문항의 풀이과정을 완성시켜놓고 튜닝을 하는게 멘붕방지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4. 합격인증
저는 어렵지않게 합격했지만, 어쏘시에이트보다는 확실히 어려운 시험이었습니다. 하지만 캐글, 데이콘 같은 좋은 연습문제가 많으니 여러번 반복하시면 분명 합격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기타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 시즐링 두번째 온라인 수업 (0) | 2023.03.23 |
---|---|
[02] 시즐링 온라인 교육 시작 (0) | 2023.03.22 |
[01] 시즐링 첫 오프라인 교육 (1) | 2023.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