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엑셀 기초 함수 카테고리에서는 정말 자주 사용되고 유용한 기초 함수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첫번째는 정말 중요하고 많이 쓰이는 vlookup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Vlookup 함수 구조 vlookup(lookup_value, table_array, row_index_num, [range_lookup]) - 첫번째 lookup_value : 내가 현재 찾고 싶은 값 (단, 찾는 범위는 데이터의 첫 열에 한정) - 두번째 table_array : 찾으려는 값이 있는 전체 데이터 표 - 세번째 row_index_num : 추출할 열 번호 - 네번째 [range_lookup] : FALSE 또는 0을 입력하면 정확히 일치하는 값, TRUE 또는 입력하지 않으면 유사한 값 찾아서 함수의 결과값으..
[표1] 원본데이터 행/열 A B C D E F 1 한국 중국 일본 미국 타이완 넘버원 이런식의 데이터를 2*3 혹은 3*2의 표 형식으로 변환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물론 일일히 수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겠지만 데이터가 매우 많아진다면 무척 곤란해질 것이고, 우리의 퇴근시간 또한 늦어질 것이다. 필자가 생각하는 문제해결도를 이야기식으로 제시하니 차근차근 따라와보시길 바란다. 급하신 분들은 맨 아래로 내려보면 되지만 본인이 원하는 업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한 번 읽어보시는걸 권장드린다. 1. 뭘 해야 할까? 데이터를 살펴보니 1행 6열의 데이터. 내가 하고 싶은 것은 2*3(2행 3열)로 정렬. 그동안 엑셀 배웠던 것을 생각하면... 행열을 자유롭게 변환해주는 함수는 없었으니 기존에 알고 있던 함수..
행정소송법 제2조 제2항 : 이 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행정청에는 법령에 의하여 행정권한의 위임 또는 위탁을 받은 행정기관, 공공단체 및 그 기관 또는 사인이 포함된다. 행정소송법 제13조 제1항 : 취소소송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그 처분등을 행한 행정청을 피고로 한다. 다만, 처분등이 있은 뒤에 그 처분등에 관계되는 권한이 다른 행정청에 승계된 때에는 이를 승계한 행정청을 피고로 한다. 1. 의의와 행정청 피고적격이란 소송에서 피고로서 본안판결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을 말한다. 무효등확인소송과 부작위위법확인소송에서도 위 피고적격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행정소송에서의 피고, 즉 행정청은 공법과 사법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요소이다. 자연인(법인)은 법인격이 있어 법률관계를 형성할 수 있..
다양한 곳에서 진행하는 빅데이터 공모전이 있다. 필자같은 대학생이라면 학교수업이나 교내대회도 있을 것이다. 참여하기로 마음먹으면 주제에 맞는 공공데이터 포털을 뒤지면서 열심히 삽질을 반복한다. 그렇게 분석을 끝내고 나면 심사위원분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ppt를 꾸며야 하는데, 단순한 막대그래프로는 모양새가 안난다. 대부분의 공공데이터는 지리정보와 관련된 내용이 많기에 이와 연관지어 분석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전통시장, 교통사고, 젠트리피케이션 등의 주제) 지리적 정보와 분석을 함께 시각화하려면 지도위에 색칠하여 표시하면 직관적이고 반응도 좋은 것 같다. 따라서 이 포스팅은 빅데이터 시각화에서 자주 쓰일 지도에 색칠하기를 다루려고 한다. 시작하기 전!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에 들어가서 공모전 작품..
행정소송법 제12조(원고적격) - 취소소송은 처분등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가 제기할 수 있다. 처분등의 효과가 기간의 경과, 처분등의 집행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소멸된 뒤에도 그 처분등의 취소로 인하여 회복되는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의 경우에는 또한 같다. 1. 개념협의의 소의 이익은 원고가 소송을 통하여 분쟁을 해결해야만 하는 현실적인 필요성이 있는 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권리보호의 필요성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은 없다. 다만 제12조에서 두번째 문장은 소멸된 처분을 취소하여 회복되는 이익이 있는 자도 원고적격을 인정하였다. 즉 권리보호의 필요성은 제12조의 두번째 문장이 다루고 있다고 보아야 한다. 정리하면 앞서 보았던 대상적격과 원고적격이 인정되는 한 권리보호의 필요성이 인정된다. 다..
행정소송법 제12조 - 취소소송은 처분등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가 제기할 수 있다. 처분등의 효과가 기간의 경과, 처분등의 집행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소멸된 뒤에도 그 처분등의 취소로 인하여 회복되는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의 경우에는 또한 같다. 1. 법률상 이익개인적 공권이란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행정주체에게 특정한 작위, 부작위 등을 요구할 수 있는 공법상의 힘이다. 구체적으로는 ①행정주체에게 의무를 부과하는 강행법규가 존재해야 하고, ②강행법규가 공익실현뿐만 아니라 개인의 이익실현을 목표해야 한다. 통설은 행정소송의 주임무를 개인적 공권의 침해에 대한 구제로 보고 있다. 이에 따르면 행정행위에 의하여 공권을 침해당한자는 행정행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에 의하여 보호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