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통계학에서 나오는 확률개념들
모집단에서 복수의 표본을 무작위로 추출하면 모집단과 표본집단의 성질이 달라진다.예를 들어 한 고등학교의 학생들을 추출하는데 우연히 몸무게 상위10% 학생만 뽑힐 수도 있다. 이 경우 모집단과 표본집단의 평균, 표준편차 등의 성질이 달라진다는 것은 쉽게 알 수 있다.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확률의 개념이 이용된다.사상 : 시행 결과 중 조건에 맞는 집합.전사상 : 모든 시행 결과의 집합.ex) 주사위를 1번 던졌을 때 짝수가 나올 확률은?사상 : 2, 4, 6 ->3개전사상 : 1, 2, 3, 4, 5, 6 -> 6개즉 3/6=1/2(다만 위와같이 사상의 개수/전사상의 개수로 확률을 구할 때에는 모든 결과의 확률이 같아야 함. 마치 로또에 당첨될 확률은 1/2이다! 라고 주장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 ..